728x90

♡information 65

손가락 관절 뚝뚝 소리내기, 과연 시원해지는걸까

무의식적으로 손가락 관절을 꺾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뚝 소리에 괜히 시원한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그런데 자주 꺾으면 관절이 상한다거나 손가락 마디가 두꺼워진 속설이 있습니다. 사실일까요? 관절을 꺾을 때 나는 소리의 정체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두 가지 원인이 추정된다. 하나는 거품이 터지는 소리입니다. 관절엔 관절과 관절 사이를 매끄럽게 해주거나 충격을 흡수하는 관절액이 차있습니다. 관절을 비틀면 이 관절액에 거품이 생기는데 다시 터지면서 ‘뚝’ 소리가 난다는 것입니다. 나머지 하나는 공기가 유입되는 소리입니다. 캐나다 앨버타대 재활의학교실 연구팀은 손가락 관절을 꺾을 때 변화를 살피기 위해 MRI를 촬영한 적이 있습니다. 그랬더니 인위적으로 손가락 관절을 꺾으면 관절낭(관절을 감싸는 주머니)..

♡information 2023.10.11

추위를 많이 타는 사람, 원인과 해결법

아침 저녁으로 쌀쌀한 날씨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남들보다 추위를 유독 많이 타는 사람이 있는데, 왜 그런 걸까요? 먼저, 몸에 근육이 충분하지 않으면 추위를 잘 탑니다. 근육에는 모세혈관이 많이 분포해 있으며, 이를 통해 영양과 산소가 운반되고 대사되면서 에너지를 생성합니다. 근육이 몸의 열을 만들어내는 공장인 셈이죠. 팔, 다리의 근력운동을 한 뒤 그 부위를 만지면 따뜻해지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그런데 나이가 들면서 근육이 줄었거나, 원래 근육이 부족한 사람의 경우 열을 충분히 만들어내지 못 하기 때문에 추위를 더 잘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런 사람들은 하체 근육 운동을 하면 추위에 조금이나마 더 강해집니다. 엉덩이, 허벅지 같은 하체에 큰 근육들이 몰려 있기 때문에 하체를 공략하는 것이죠. 스쿼트, ..

♡information 2023.10.10

추석때 먹고 남은 음식, 명절 음식 보관법

추석 연휴 때 먹고 남은 음식을 먹을 예정이라면, 식중독을 주의하자. 명절 음식 보관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름진 음식, 랩에 닿으면 x 남은 전을 잠깐 보관하기 위해 랩을 씌워 냉장고에 넣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전, 돼지고기 수육과 같은 기름진 음식은 랩과 상극이라 안전하지 않습니다. 랩은 지방이 성분이 많은 식품에 닿지 않게 해야 합니다. 랩 포장에도 ‘지방 성분이 많은 식품에는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사용할 것’이라 적혀 있습니다. 특히, 랩을 유연하게 하는 가소제를 15~30% 사용하는 ‘염화비닐수지’ 랩이라면, 가소제가 식품으로 스며들 우려가 있습니다. 음식점과 대형마트에서 식품 포장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게 바로 염화비닐수지 랩입니다. 랩을 안전하게 사용하려면, 고기 국물이나 갈비같이 ..

♡information 2023.10.08

가을 탈모, 원인과 막는 방법

가을에 접어들며 갑자기 머리가 많이 빠져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실제로 가을에는 다른 계절보다 탈모가 심해지는데 그 이유가 뭘까요? ◇건조한 대기‧호르몬‧여름철 약해진 두피 가을에는 일교차가 급격히 커지며 얼굴 피부와 마찬가지로 두피의 유‧수분 균형이 무너지기 쉽습니다. 또한 대기도 건조해지면서 두피가 푸석해지고, 각질이 잘 쌓입니다. 각질이나 오염물질이 모공을 막으면 모낭 세포의 활동이 저해되기 때문에 머리카락이 쉽게 빠집니다. 가을 탈모는 호르몬의 영향도 있습니다.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은 일조량이 줄어드는 가을에 일시적으로 증가합니다. 테스토스테론은 근육이나 생식기관뿐만 아니라 모낭에 있는 안드로젠 수용체에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모발 성장을 억제하고 머리카락을 빠지게 하는 작용을 합..

♡information 2023.10.07

과식 막는 식습관, 어떻게 해야 효과적일까

밥을 먹기 전엔 항상 ‘조금만 먹어야지’ 다짐하지만, 막상 숟가락을 들기 시작하면 음식의 유혹을 참지 못하고 과식해버릴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과식하는 습관은 소화불량을 유발할뿐더러, 비만하게 해 당뇨병‧심혈관질환‧암 위험을 높입니다. 과식을 막는 식습관을 알아보죠. ◇음식은 작은 접시에, 크게 썰기 음식을 담을 때 작은 접시에 크게 썰어 담으면 대비 효과로 실제보다 음식이 많아 보입니다. 이는 시각적으로 만족감을 줘 과식을 막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요리할 때 역시 음식 재료를 크게 썰면 재료 속으로 기름이나 소금이 적게 배 건강에도 좋습니다. ◇먹기 전 덜어두기 먹을 양을 미리 정해두고 덜어놓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음식이 맛있고 양이 많다면 자신도 모르게 계속 더 먹게 되기 때문이죠. 밥 한 공..

♡information 2023.10.06

술 마신 다음 날, 절대 하면 안되는 습관 3가지

추석 연휴 술 약속을 잡는 사람이 많습니다. 술을 마신 뒤 구토를 하거나 양치를 하지 않고 자는 등 여러 습관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습관들은 식도 손상, 치아 착색을 비롯한 여러 문제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구토 음주 후 습관적인 구토는 식도를 손상시킬 위험이 높습니다. 구토 과정에서 식도를 타고 넘어오는 위산에는 소화효소가 섞여 있기 때문이죠. 소화효소는 강한 산성으로, 식도 점막 역시 자극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위와 식도 사이 근육이 느슨해지면 ‘역류성 식도염’으로 이어지거나 천공이 발생할 위험이 있으며, 구토로 인해 위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소화액이 계속 분비되면 위염이나 위궤양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음주 후 구토를 피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은 술을 마시지 않거나 적게 마시..

♡information 2023.10.05

가을 제철 은행, 효능과 하루에 몇 개까지 먹어도 되나

가을이 되면 거리에서 꼬릿꼬릿한 냄새가 진동합니다. 바로 은행나무 때문이죠. 은행나무는 4월에 꽃을 피우고 10월에 열매가 황색으로 익어 땅에 떨어집니다. 푸른 보약이라고도 불리는 은행, 어떤 효능이 있을까요. 1.혈액순환 개선 은행은 △탄수화물 34.5% △단백질 4.7% △지방 1.7% △카로틴 △비타민 C 등으로 구성돼 있는 건강식품입니다. 이 외에도 은행에는 징코플라톤이라는 성분이 함유돼 있는데, 이는 혈관을 따라 이동하는 혈액이 굳어 뭉치는 것을 억제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실제 징코플라톤은 시중에 판매되는 약재의 성분으로 사용될 만큼 동맥경화 등의 혈관계 질환 예방 효과가 뛰어납니다. 2.기관지 보호 은행은 폐를 따뜻하게 하고 호흡기 기능을 강화시키는데 좋은 식품으로 알려..

♡information 2023.10.04

천둥, 번개 칠 때 설거지를 하면 벌어지는 충격적인 일

천둥, 번개가 칠 땐 가급적 설거지, 샤워 등 수도꼭지를 트는 활동은 잠시 미루는 것이 좋습니다. 감전될 수 있기 때문이죠. 빛 에너지는 땅속 배관을 통해 전달돼, 감전 사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실제로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천둥, 번개가 칠 때는 샤워, 목욕, 설거지, 손 씻기 등 모든 물을 사용하는 활동을 피해야 한다"고 권고했습니다. 번개는 구름 하부에 쌓인 음전하가 지상의 양전하가 있는 곳으로 떨어지면서 방출되는 빛 에너지죠. 대부분 건물은 번개 에너지가 땅속으로 흘러가도록 설계돼 있는데, 에너지양이 매우 강력해 땅속에서 소멸하면서도 문제를 유발하곤 합니다. 미국 국립기상청에 따르면 번개 에너지는 태양 표면보다 5배 더 뜨겁게 공기를 데울 수 있습니다. 땅속에 묻혀있는 금속 배관은 ..

♡information 2023.10.03

자꾸 생기는 변기 곰팡이, 올바른 변기 위생 관리법

화장실은 물기가 많아 습도가 높으며 곰팡이가 생기기 쉽습니다. 변기 주변에는 세균까지 많아 청결유지에 더 신경 써야 합니다. 올바른 변기 위생 관리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화장실 악취 근원 화장실 변기에 생기는 검붉은 색, 녹색, 흰색 등 곰팡이는 퀴퀴한 악취를 냅니다. 곰팡이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코 막힘, 눈 가려움, 자극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곰팡이를 발견 즉시 제거하지 않고 방치하면 조직이 점점 단단해져 악취가 심해집니다. 특히 변기 안쪽과 틈새, 변기와 바닥을 잇는 부분의 틈에는 곰팡이, 물때 등이 생기기 쉬워 주의해야 합니다. ◇식초·베이킹소다 변기에 생긴 곰팡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려면 식초를 활용하는 게 좋습니다. 식초는 곰팡이류의 최대 82%를 박멸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

♡information 2023.10.02

거북목, 베개를 올바르게 고르는 꿀팁

거북목은 오랜 시간 자리에 앉아있는 사람에게 찾아오기 쉽습니다. 의자에서의 구부정한 자세가 원인이다 보니 비슷하게 오래 사용하는 베개를 이용해 고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실제로 베개를 잘 베서 거북목을 고칠 수 있을까요? 베개를 베지 않으면 오히려 거북목이 악화할 수 있습니다. 자는 동안 경추(목뼈)가 C자를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이죠. 거북목은 본래 C자 모양인 경추가 1자나 역 C자 형태로 변형돼서 발생합니다. 모니터나 스마트폰을 볼 때 고개를 과도하게 앞으로 빼는 게 원인입니다. 머리가 앞으로 기울면 경추가 견디는 하중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경추가 끌려가듯 휘게 됩니다. 휜 경추를 다시 펴기 위해서 고개를 뒤로 젖히는 등 반대로 하면 될 거라고 여기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골반,..

♡information 2023.10.0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