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실은 물기가 많아 습도가 높으며 곰팡이가 생기기 쉽습니다.
변기 주변에는 세균까지 많아 청결유지에 더 신경 써야 합니다.
올바른 변기 위생 관리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화장실 악취 근원
화장실 변기에 생기는 검붉은 색, 녹색, 흰색 등 곰팡이는 퀴퀴한 악취를 냅니다.
곰팡이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코 막힘, 눈 가려움, 자극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곰팡이를 발견 즉시 제거하지 않고 방치하면 조직이 점점 단단해져 악취가 심해집니다.
특히 변기 안쪽과 틈새, 변기와 바닥을 잇는 부분의 틈에는 곰팡이, 물때 등이 생기기 쉬워 주의해야 합니다.
◇식초·베이킹소다
변기에 생긴 곰팡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려면 식초를 활용하는 게 좋습니다.
식초는 곰팡이류의 최대 82%를 박멸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식초를 분무기 등에 담고 곰팡이가 핀 부분에 뿌려두면 됩니다.
한 시간 뒤, 변기를 깨끗이 닦아내면 곰팡이가 제거됩니다.
식초 대신 베이킹소다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물 두 컵에 베이킹소다 한 티스푼을 넣고 곰팡이가 핀 부분에 바릅니다.
욕실 브러시를 활용해 강하게 문지르고 물로 헹굽니다.
◇환기로 습기 없애기
청소 후에는 욕실 문을 열고 환기해 곰팡이가 좋아하는 습기를 제거해야 합니다.
습기를 빨아들이는 식물인 싱고니움, 스파트필름, 아나나스류, 달개비류, 고사리류 등을 두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죠.
김에 들어있는 방습제를 모아 부직포에 담아 걸어둬도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당뇨병 영향
한편, 습기, 위생 불량 외에 당뇨병이 변기 곰팡이를 만든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미국 온라인 매체 우먼스 월드에 의하면 화장실 변기에 생긴 곰팡이가 당뇨병의 징후일 수 있습니다.
당뇨병이 있으면 혈중 포도당 함량이 높아지고, 신장에서 소변을 통해 포도당을 배출합니다.
즉, 소변을 보고 난 뒤 변기에 당이 남아 곰팡이가 서식하기 쉽다는 설명이죠.
곰팡이는 당을 영양분으로 삼아 증식합니다.
몸이 소변으로 과도하게 포도당을 배출할수록 더 많은 양의 당이 변기에 축적됩니다.
당뇨병 환자는 갈증을 자주 느껴 수분 섭취량이 많습니다.
물을 더 많이 마시는 만큼 소변을 자주 보며 변기 안에 곰팡이가 살기 좋은 최적의 환경이 만들어집니다.
변기에 곰팡이가 자주 생긴다면 당뇨병을 의심해보는 게 좋습니다.
이와 더불어 소변보는 횟수가 증가하거나 소변에서 달콤한 냄새가 난다면 병원에 내원해 혈액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칫솔을 화장실에 두고 쓰면 벌어지는 충격적인 일.
세균이 바글바글한 칫솔을 그대로 입에 넣어 양치하면, 입안 세균이 증식해 잇몸병, 충치, 입 냄새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칫솔을 욕실에 보관하는 것은 칫솔에 세균이 번식하도록 두는 지름
dadao-2.tistory.com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 제철 은행, 효능과 하루에 몇 개까지 먹어도 되나 (7) | 2023.10.04 |
---|---|
천둥, 번개 칠 때 설거지를 하면 벌어지는 충격적인 일 (21) | 2023.10.03 |
거북목, 베개를 올바르게 고르는 꿀팁 (16) | 2023.10.01 |
아침에 심한 입 냄새, 양치보다 효과적인 방법 (3) | 2023.09.30 |
계속 오르는 기름값, 주유비 아끼는 실전 꿀팁 (6) | 2023.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