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는 입 냄새가 특히 심하게 느껴지곤 합니다.
물론 양치를 하면 어느 정도 완화될 수 있겠지만, 더 건강하고 효과적인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아침밥을 먹는 것이죠.
잠에서 깨어난 직후 입 냄새가 심해지는 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잠을 자는 동안에는 침 분비가 줄어 입안이 마르고, 이로 인해 세균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일상생활을 할 때는 음식물을 섭취하고 말을 하며 끊임없이 저절로 입안이 청소되는 ‘자정작용’이 이뤄집니다.
하지만 잠을 잘 때는 입을 거의 움직이지 않아 자정작용이 줄고, 침의 양도 줄게 됩니다.
이때 입안과 목구멍에 혐기성 세균이 수백 만 마리 이상 번식합니다.
혐기성 세균은 혀의 미뢰(미각을 느끼는 부분)나 치아·잇몸 사이 치주낭 등에서 서식하며 황화합물을 만들어 내는데, 이것이 입 냄새를 유발합니다.
특히 입을 벌리고 자거나 코골이가 심한 사람들은 입안이 더 건조해져 입 냄새가 악화할 가능성이 큽니다.
사실 아침 입 냄새는 양치를 하면 어느 정도 사라집니다.
칫솔질로 치아에 붙어 있는 혐기성 세균과 황화합물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문제는 혀의 안쪽과 목구멍 등에 붙어 있는 황화합물입니다.
이는 신체 구조 및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칫솔이 닿기 어려운 곳에 자리 잡은 황화합물이 사라지지 않으면 입 냄새가 지속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를 제거하는 데는 아침 식사를 하는 게 도움이 됩니다.
빵과 같은 정제된 가공식품보다는 섬유질이 풍부한 밥을 먹는 게 더 효과적입니다.
그래야 음식물을 씹을 때 혀 안쪽과 목구멍에 붙어있는 혐기성 세균들이 모두 쓸려 내려갈 수 있습니다.
또한 규칙적인 아침 식사는 침 분비량을 늘리고, 혀 표면의 설태(혓바닥에 하얗거나 노랗게 낀 물질)를 제거해 입 냄새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나 피로가 심해질 때도 역시 침이 말라 악취가 심해질 수 있는데, 이때 아침을 챙겨 먹는 습관은 입 냄새 제거뿐만 아니라 건강 회복에도 도움이 됩니다.
이외에도 ▲매일 양치질을 3회 이상하고 ▲치실을 사용하고 ▲혀를 잘 닦아 설태를 제거하고 ▲정기적인 충치 검진을 하고 ▲입속에 염증이 없는지 확인하는 것이 입 냄새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만약 그럼에도 입 냄새가 지속해서 심하게 난다면 역류성식도염, 당뇨병, 간 질환이 원인일 수 있으므로 병원을 찾는 게 좋습니다.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꾸 생기는 변기 곰팡이, 올바른 변기 위생 관리법 (21) | 2023.10.02 |
---|---|
거북목, 베개를 올바르게 고르는 꿀팁 (16) | 2023.10.01 |
계속 오르는 기름값, 주유비 아끼는 실전 꿀팁 (6) | 2023.09.29 |
옷에 붙은 반려동물 털, 가장 쉽게 제거하는 법 (102) | 2023.09.24 |
전자밥솥 내솥에 쌀 씻으면 중금속을 먹는 겁니다. (64) | 2023.09.23 |